Java
[SpringBoot] 어노테이션(annotation) 정리
Dev.J
2021. 5. 27. 14:49
개인적으로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책을 공부하면서 적어둔 내용입니다.
내용은 계속 추가될 예정입니다.
@RestController
- 컨트롤러를 json을 반환하는 컨트롤러로 만들어줌
- 예전에는 @ResponseBody를 각 메소드마다 선언했던 것을 한번에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하면 됨
@GetMapping
- HTTP Method인 Get의 요청을 받을 수 있는 API를 만들어 줌
- 예전에는 @RequestMapping(method = RequestMethod.GET)으로 사용되었음
@RunWith(SpringRunner.class)
- 테스트를 진행할 때 JUnit에 내장된 실행자 외에 다른 실행자를 실행시킴 / SpringRunner라는 스프링 실행자를 사용
- 스프링 부트 테스트와 JUnit 사이에 연결자 역할을 함
@WebMvcTest
- 여러 스프링 테스트 어노테이션 중, Web(Spring MVC)에 집중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
- 선언할 경우 @Controller, @ControllerAdvice등을 사용할 수 있음
- @Service, @Component, @Repository 등은 사용할 수 없음
@Autowired
- 스프링이 관리하는 빈(Bean)을 주입 받음